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첨단산업 훈련지원' 청년 정부 지원으로 취업까지! (지원대상/ 개정내용/ 지원금액/ 신청방법)

by 물만두1290 2024. 1. 6.
반응형

2024년에는 청년을 대상으로 한 지원금이나 정책들도 많이 개정되는데요. 그중 하나인 첨단산업 훈련지원 정책은 2024년 어떻게 변화될까요? 산업인력 양성을 위한 훈련을 지원하면서 청년들은 더 많은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오늘은 첨단산업 훈련지원 지원대상/ 2024년 개정내용/ 지원내용/ 지원금액/ 신청방법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4년 첨단산업 훈련지원

첨단산업훈련지원이란?

첨단산업 훈련지원은 첨단산업 분야에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인데요. 이 프로그램은 기업과 학교를 연계하여 산업 수요에 맞추어 첨단산업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지원사업은 산업인력공단을 통해 제공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훈련이 이루어집니다. 첨단산업 아카데미는 반도체, 바이오 등 첨단산업 전문인력 수요에 대한 훈련을 하고, 대학교 4학년과 전문대 2·3학년 학생들이 600시간에서 800시간의 훈련을 받게 됩니다. 해당 프로그램은 국내기업의 해외시장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2024년 개정 내용

그렇다면 2024년에는 첨단산업 훈련지원이 어떻게 변화될까요? 

1) 반도체·이차전지 분야 아카데미 지원 확대

2023년도에는 반도체 관련 특성화대학·아카데미 분야에서 920명밖에 지원하지 않았다면, 2024년에는 대폭 상승된 2,450명을 지원합니다. 또한, 반도체 분야 뿐만 아니라 이차전지 분야 훈련도 지원한다고 합니다. 

2) 한미 첨단분야 청년교류 지원 확대

2024년도에 신설된 분야도 있는데요. 바로 '한미 첨단분야 청년교류' 입니다. 해당 지원사업은 300명까지 지원을 해주기로 하였는데요. 확실히 전년도에 비해 지원 폭이 훨씬 커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반기에는 최소 6,000여 명을 지원할 예정이라고도 밝혔습니다.

 

신청대상 및 신청 방법

본 사업 신청 대상자는 국내 대학교 4학년과 전문대 2~3학년입니다. 또한, 그 중에서도 입직 1년 이내 근로자가 대상이며 신청은 상시근로자 수 20인 이상인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에서 근무하는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대상자에 해당하는 사람은 기업과 학교를 연계하여 산업 수요 맞춤형 첨단산업분야 인재 양성 추진 훈련을 제공받습니다. 또한, 대상자는 600~ 800시간의 훈련을 받으며 국내기업의 해외시장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프로그램 교육을 받게 된다고 합니다.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은 온라인 신청으로 가능한데요. HRD-Net (직업훈련포털) 을 통해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HRD-Net에서 본인 또는 대리인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린 신청대상에 본인이 해당하는지 판단해 본 후, 신청하시면 됩니다. 텍스트에 링크 걸어두었으니 들어가셔서 신청하시면 됩니다. 

HRD-Net은 첨단산업훈련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신청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처리기간 확인 등의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다양한 훈련 지원을 받고자 하는 근로자들은 이 사이트를 통해 간편하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직업훈련포털 HRD-Net

오늘도 더 성장할 나를 위한 직업훈련 지식포털 훈련기관 로그인 --> 훈련기관 로그인 로그인 회원가입 개인/기업 로그인 개인 기업 회원가입

www.hrd.go.kr

 

참고사항

첨단산업 훈련 지원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됩니다.

SW테스트, IT시스템운영, 임베디드SW개발, 빅데이터구축·운영엔지니어링, 인공지능개발, 빅데이터분석, SW개발, 블록체인서비스개발, 가상훈련콘텐츠 SW개발, 커넥티드카 소프트웨어 개발,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개발, 로봇기구개발, 로봇소프트웨어개발, 로봇제어기하드웨어개발, 바이오에너지생산기술, 연료전지에너지생산기술, 폐자원에너지 생산기술, 태양열에너지생산기술, 태양광에너지생산기술, 풍력에너지생산기술, 해양에너지생산기술, 반도체설계, 반도체장비개발, 반도체장비조립, 반도체제조운영, 바이오의약품제조, 바이오화학제품제조, 디스플레이 개발, 디스플레이 생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