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 운전면허나 2종 운전면허를 가지고 계신 분들은 갱신할 때 적성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는 1종 보통 운전면허 적성검사 대상자에게 신체검사 비용, 수수료를 줄여주는 서비스인데요. 오늘은 해당 서비스의 신청대상/ 신청방법/ 지원내용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운전면허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
운전면허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란?
앞서 말씀드렸듯이 운전면허 갱신 시 받는 적성검사를 간소화시켜주는 것인데요. 운전면허는 나이에 따라 10년에 한 번, 5년에 한 번 갱신해야 합니다. 운전면허를 갱신하는 사람들 중에서 1종 보통 적성검사 대상자에게 신체검사 비용, 수수료를 줄여주는 서비스를 말합니다. 국가건강검진이나 회사, 또는 나라에서 신체검사를 받은 기록이 있다면 이러한 정보를 운전면허 신체검사에 사용할 수 있게끔 정보 제공을 해주어 검사 항목을 간소화시켜 주는 것입니다. 덕분에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지원 대상 및 신청 기간
운전면허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의 지원 대상은 앞서 말씀드렸듯이 1종 보통 운전면허 적성검사가 대상인 사람입니다. 선정기준은 따로 없습니다. 신청 기간 역시 따로 없으나, 적성 검사 갱신 기간 내에만 신청하면 됩니다. 보통 시험장에서의 평균 대기 시간은 1시간이라고 하는데요. 방문 전 미리 적성검사를 실시하여 대기 없이 운전면허 갱신을 받을 수 있다면 좋겠죠? 보통 운전면허 적성검사는 10년에 한 번씩 받는 경우가 대다수이기 때문에 잊어버릴 수 있지만, 적성검사를 온라인으로 한다면 번거로움도 줄어들 것입니다. 기간 내에 꼭 검사를 하여야 불이익이 없으니 이 점 유의하시길 바랍니다.
지원 내용
운전면허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는 핸드폰으로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합니다. 도로교통공단 앱을 핸드폰에 설치 및 실행한 후에 운전면허 갱신 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1종 보통 면허 적성검사 갱신의 경우, 2년 이내에 신체검사를 받은 검진기록이 있을 시 정보 제공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되어 신체검사 비용 및 수수료를 절감해 줍니다. 적성검사가 끝난 이후에는 결과를 즉시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통보 문자를 받으면 사전에 수령장소로 설정한 곳에서 면허증을 수령하러 갈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는 온라인 신청과 오프라인 신청 모두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의 경우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정보제공 여부에 동의하고, 신체검사 정보 불러오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오프라인 신청의 경우 경찰서 또는 운전면허시험장에 방문하여 정보제공동의서에 서명하고, 신체검사 정보 불러오기를 하시면 됩니다.
온라인 : [ 도로교통공단 홈페이지 > 정보제공 여부 동의 > 신체검사 정보 불러오기 ]
오프라인: [ 경찰서 또는 운전면허시험장 방문 > 정보제공 여부 동의서에 서명 > 신체검사 정보 불러오기 ]
도로교통공단
www.koroad.or.kr
참고사항
해당 서비스에 대하여 궁금한 것이 있으신 분은 경찰 민원 콜센터 (국번없이) 182로 전화하시면 됩니다. 또한 서비스 지원 형태는 바우처나 포인트가 아니라 현금이니 이 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앞서 말씀드렸듯이 적성검사 기간에는 꼭 검사를 하셔야 불이익이 없으니 주의하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2024 운전면허 적성검사 간소화 서비스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운전면허증에 적성검사 기간이 적혀있어도 까먹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꼭!! 놓치지 않고 미리미리 검사하세요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부터 자동차 세금 혜택 기준이 완화됩니다 (다자녀 혜택 기준/ 친환경 자동차 혜택) (0) | 2024.01.09 |
---|---|
2024년, 더 간단해진 전기요금 복지할인으로 전기세 절약하세요! (지원대상/ 신청방법/ 지원내용/ 지원금액) (0) | 2024.01.08 |
2024년, '첨단산업 훈련지원' 청년 정부 지원으로 취업까지! (지원대상/ 개정내용/ 지원금액/ 신청방법) (0) | 2024.01.06 |
2024년, 새롭게 달라진 주거급여를 만나보세요! (신청대상/ 개정내용/ / 신청방법) (0) | 2024.01.05 |
2024년부터 인천 출산지원금이 1억으로 늘어난다고? (1억 플러스 아이드림 지원대상/ 지원내용/ 신청방법/ 중복수령) (0) | 2024.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