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4년 산림복지바우처 신청기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사실!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기간)

by 물만두1290 2023. 12. 31.
반응형

사람은 살아가면서 누구나 마땅히 누려야 할, 누릴 수 있는 권리 및 혜택들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내용도 그와 관련된 것인데요. 바로 '산림복지바우처'입니다. 사회·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산림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는 소외계층에게 산림복지 서비스 체험 기회를 제공해주는 정부지원제도인데요. 본 제도의 2024년 지원 기간이 며칠 남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늘은 2024년 산림복지 바우처 지원대상/ 지원내용/ 지원기간/ 신청방법/ 사용방법/ 사용처 등 총정리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산림복지바우처

산림복지바우처란?

산림복지바우처는 한국산림복지진흥원에서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경제적, 사회적으로 어려움을 가진 산림복지소외자가 산림복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일정 금액의 이용권을 바우처 형식으로 지원하는 사업인데요. 이 바우처로 전국의 자연 휴양림, 펜션, 야영장 등 산과 관련된 시설의 입장료나 숙박비 및 식비 등을 지원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2024년에는 해당 제도의 바우처가 총 65,000매 배부된다고 합니다. 그러나 지원하였다고 하여 모두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추첨을 통해 진행된다고 합니다.

 

 

2024년 신청 기간 및 내용

2024년 산림복지바우처 이용권 지원 신청 기간은 이번 12월 15일 발표되었는데요. 2023년 12월 18일 (월) 10시부터 2024년 1월 19일 (금) 18시까지입니다. 약 3주정도 남았는데, 2024년에는 1번밖에 지원할 기회가 없으니 해당되시는 분들은 꼭 잊지 않고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앞서 소개해드린 것처럼 2024년에는 바우처 배부 수가 총 65,000 매인데요. 신청자가 발급 인원보다 많을 경우에는 선정기준 우선 순위에 따라 발급한다고 합니다.

 

 

지원금액 및 신청 대상

바우처 지원 금액은 1인당 10만원입니다. 동일세대 내 세대주 검증을 통해서 가족끼리 지원금액을 합산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바우처 대상자로는 기초생활수급자, 장애 (아동) 수당수급자, 장애인연금수급자, 차상위게층, 한부모 가족 그리고 사회복지시설에서 대상자와 함께 생활하는 기관종사자까지 해당됩니다. 대상자 선정은 온라인으로 선정하게 되는데요. 전체 신청자 대상으로 하여 추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합니다. 대상자 선정 발표는 2024년 1월 31일 (수) 14시에 된다고 합니다. 

 

 

신청방법

신청방법으로는 우편 신청 온라인 신청이 있습니다.

먼저 우편 신청의 경우, 접수처는 '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149, 한솔빌딩 10층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담당자'로 보내시면 되고, 이때 우편번호는 34832입니다. 발급신청서 및 제출서류를 모두 작성하여 등기 배송하시면 됩니다. 제출서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본인신청: 이용권 발급 신청서 1부
2) 가족신청: 이용권 발급 신청서 1부. 주민등록등본 또는 가족관계증명서 1부
3) 대리신청: 이용권 발급 신청서 1부, 위임장 1부

온라인 신청의 경우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사이트에서 신청이 가능합니다. 홈페이지 내 왼쪽 하단 <이용권 신청하기>를 누르시면 됩니다. 이때 필요한 서류로는 발급신청서 온라인 작성 및 제출서류를 스캔하여 파일로 첨부하면 되고 위에서 소개해드린 서류와 동일합니다.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산림복지서비스이용권 소개, 기초생활수급자 및 장애(아동)수당수급자 발급, 사용시설 안내, 사용방법 안내

www.forestcard.or.kr

 

 

사용방법 및 사용처

바우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KB국민카드 명의 신용/ 체크/ KB Pay 머니백 카드 (선불)를 꼭 발급하여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미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KB국민카드로도 산림복지바우처 지원금 결제가 가능합니다. 이때, 만 18세 미만 이용권 사용자의 경우, 제3자 (부모 등 친족) 에게 지원금 합산 후 사용 가능합니다. 

사용처 확인은 사이트 오른쪽 상단 <사용가능 시설안내> 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산림복지단지나 산림목장, 치유의 숲, 수목원, 숲 속 야영장 등 종류가 꽤나 다양하니 미리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해당 시설의 숙박비 및 프로그램 이용료 등을 바우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약 3주 정도 남은 '산림복지바우처' 꼭 신청해 보세요!